기업에 속해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서 흔하지 않지만 IR 업무를 할 경우나 관여할 경우가 있습니다. 실무적으로 어떤 식의 접근을 해야 하는지 막막할 때 관련해서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1. IR 자료 작성 Tip
1) 스티브 잡스 발표자료 형태로 IR자료를 만드는 것은 망하는 지름길
- IR 자료란, 보통 IR 후 1~2달 뒤 투자 심사 위원회를 진행할 때 투자 심사위원들이 CEO가 했던 말을 기억해내기 위해 다시 들쳐보는 fact-book의 성격
- 왜곡 없이 IR 내용을 기억해낼 수 있도록 자세한 컨설팅 보고서 스타일이 효과적임
- 컨설팅 형태 보고서는 자료 상단에 메시지를 적고 검증된 숫자를 근거로 한 자료로 시각화해서 설명함
2) 객관적 수치와 근거에 기반하여 설득력을 높이는 게 중요
- 투자란, 회사의 미래 가치에 대한 베팅. 데이터와 근거(evidence)에 기반해 논리적 설득할 수 있는지 여부가 핵심
3) 정답은 없지만 오답은 있음
- IR자료, 발표 한 번 잘했다고 투자가 보장되지는 않으나 나쁜 첫인상은 각인되어 선입견이 됨
4) IR자료, 발표는 회사와 창업자, CEO의 품격을 대변
- '싼 티'가 나면 '싼 티'난만큼 대접받게 되고, 고급스러우면 리스펙트(respect)를 받게 됨
※ IR 자료의 목차의 구성
목차 구성에 정답이라는 것은 없지만 창업자, CEO 본인이 지향하는 미래가치를 논리적으로 설득하고 상대가 공감하도록 스토리라인을 구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정답은 없고 정말 막막하다면 다른 회사의 경우를 따라 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투자 라운드가 올라갈수록 IR의 포커스는 구체적, 성과지향적이 됨
2. IR 자료 피칭
1) 두괄식 구성
- 투자자는 인내심이 많지 않습니다. 주변을 다 훑고 나서야 핵심으로 들어가는 스타일은 듣는 사람을 지치게 만듭니다.
- 투자자로부터 공격받을 포인트를 단도직입적, 집중적으로 설득할 필요가 있습니다.
2) 데이터, 근거 기반 설득 논리
- 데이터, 근거에 기반 스토리라인은 듣는 사람의 선입견을 깰 수 있는 효과적인 무기임
3) 열정, 확신, 소신, 태도 등의 정성적인 포인트 전달
- 투자의사결정 포인트로서의 사람은 단순한 학력, 경력이 아니며 회사가 제시하는 미래 가치를 실현하는 주요 당사자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포함
이번에는 IR자료 작성과 피칭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위의 정보들이 직장생활 또는 창업 활동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